예방
섭식장애 예방이 필요한 이유를 알아보고, 예방방법을 소개합니다.
예방이 필요한 이유
‘예방’이란 신체불만족, 우울, 외모에 대한 집착 등의 위험 요인은 낮추고, 자신감, 문제해결 능력 등 보호 요인을 증가시킴으로써,
섭식장애 발병 가능성을 낮추는 것을 의미합니다.
결정 요인 | 하위 요인 | |
---|---|---|
위험 요인 |
심리적 | 낮은 자존감, 완벽주의, 강박적이거나 신경질적인 성향, 스트레스, 우울, 외모나 신체상에 대한 지나친 가치 부여, 과도한 불안이나 두려움, 의심, 패배감과 같은 지나친 회피 경향, 사회적 상호작용 회피, 부정적 평가에 대한 대응능력 저하나 예민함, 트라우마 |
사회-문화적 | 마른 몸매를 이상적으로 간주하는 미의 기준의 내면화, 성공에 대한 사회적 압력, 또래 압력, 또래 괴롭힘, 가족 관계나 개인적 관계의 문제, 마른 몸매를 강조하는 운동이나 산업의 발달(예: 패션모델 등) |
|
보호 요인 |
개인적 | 높은 자존감, 긍정적 신체상, 미디어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사고, 정서적 안녕, 학교 성취감, 자기 주도나 확신, 사회적 기술, 문제해결능력 |
가족 | 체중이나 신체적 매력에 집중하지 않는 가족 분위기, 규칙적 식사 | |
사회-문화적 | 다양한 신체상이나 사이즈를 수용하는 사회 분위기, 마른 몸이나 신체적 매력을 강조치 않는 운동이나 산업의 발달, 체중과 신체적 외모가 크게 신경쓰지 않는 또래 및 사회적 지지 구조 및 관계 |
주로 청소년기나 성인기에 섭식장애가 나타나게 되지만, 그 생물학적, 가정적, 사회적 씨앗은 훨씬 전부터 움트기 시작합니다. 현재의 의학으로 유전적 소인을 바꾸거나
외모, 체형에 집착하는 왜곡된 사회적 가치를 단번에 바꾸기란 어렵습니다. 하지만 매스컴이나 광고에서 떠드는 것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고 자신만의 고유한 가치와
자기 인생에서 개인적 성취를 키우도록 장려하는 것이 섭식장애를 예방하는데 중요합니다.
부모나 선생님은 아이가 자신의 자존감을 키우고 사회생활에 필요한 삶의 기술과 대처 방식들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고 개인적, 환경적 제한점들을 현실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도록
도움으로써 섭식장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.